본문 바로가기
식재료이야기

정월 대보름에 먹는 오곡밥과 약식

by 져니킴 2023. 2. 5.
반응형

 

오늘은 정월 대보름과 정월 대보름에 먹는 오곡밥과 약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월 대보름은 언제?

 

우리 조상들은 태음력을 기준을 1년을 24 절기로 나누고 15일마다 한 절기가 돌아옵니다. 절기와 생활이 결부되어 여러 명 절이 정해지고 그날은 맛있는 음식으로 조상에게 제사를 올리고 가족과 이웃이 서로 나누어 먹어, 이를 절식(節食)이라고 하며, 계절에 산출되는 식품으로 만든 음식을 시식(時食)이라고 합니다.

우리 조상들은 계절에 따라 좋은 날을 택하여 명절이라고 정하고 갖가지 음식을 차려 조상에게 제사를 올리고 가족과 이웃 간의 정을 나누어 왔습니다. 

 

정월은 음력으로 한해의 첫달을 뜻하며, 정월 대보름은 매년 음력으로 1월 15일 날입니다. 정월은 1년 명절 중 세시 행사가 가장 많은 달이며, 이 중 대보름날 행사가 가장 많습니다. 정월 대보름 풍속으로는 사람의 건강과 음식에 관한 것으로 귀밝이 술, 부럼 깨기, 더위 팔기, 묵은 나물, 복쌈, 백가반 등이 있습니다. 대보름 절식으로는 오곡밥과 묵은 나물과 더불어 약식과 부럼 귀밝이술, 복쌈, 원소병, 팥죽, 김구이 등인데 그중 으뜸은 약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상원채(上元菜-나물)는 지난해 말려둔 묵은 나물들을 삶아서 나물을 만들고, 오곡밥과 같이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안 탄다고 합니다. 아홉 가지 나물로는 호박오가리, 가지고지, 시래기, 북나물, 취나물, 박나물, 표고버섯 등입니다.

< 동국세시기>에서는 이를 진채(陳菜)라 하였습니다. 이날 배춧잎, 취, 김으로 쌈을 싸서 먹는데 이를 복쌈, 또는 오래 산다고 하여 명쌈이라고 합니다.  

또 이른 새벽에 밤, 호두, 은행, 잣, 무 등을 깨물며 1년 동안 무사태평하고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게 해달라고 축수합니다. 이를 부럼 또는 작절(嚼癤)이라고 합니다. 부럼은 이를 튼튼하게 하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정월에 먹는 오곡밥

 

다섯 가지의 곡식을 합하여 밥을 짓는 데서 이름이 연유되었습니다.

음력 정월 보름날에 가을철에 간수한 아홉 가지의 묵을 나물을 준비하고 오곡밥을 지어 이웃과 두루두루 나누어 먹는 풍습이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습니다.

 

오곡은 원래 다섯 가지의 중요한 곡식인 쌀, 보리, 조, 콩, 기장을 일렀지만, 요즘은 각 지방이나 가정의 형편에 따라 넣는 곡물이 조금씩 다릅니다. 오곡밥은 차진 곡물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평소보다 밥물을 적게 잡아야 합니다. 또한 솥에다 물을 부어 보통을 밥 짓기처럼 짓기도 하나, 찜통이나 시루에 베 보자기를 깔고 곡물을 담아 찌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때는 찌는 도중에 서너 차례 소금물을 고루 뿌려 섞어 밥을 지어 줍니다.

 

약식 (약밥)

 

찹쌀밥에 꿀, 참기름, 간장으로 간을 하여 밤 대추 잣 등을 섞어서 버무려 찐 단맛이 나는 밥이지만 덕류에 들어갑니다. 약밥의 유래는 신라소지와 때 까마귀에게 제사를 드린 데서 시작되었다고 하며, 약밥 또는 약식이라고도 합니다. 미리 설탕으로 캐러멜 소스를 만들어서 하면 색이 곱고 맛도 좋아집니다.

 

 

지금까지 정월 대보름에 먹는 오곡밥과 약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참고문헌 - 3대가 쓴 한국의 전통음식

반응형

댓글